supremest.35 개발 블로그

[Server] 물리서버, 클라우드 서버 본문

Study/Server

[Server] 물리서버, 클라우드 서버

supremest.35 2022. 1. 19. 20:35

물리서버란 컴퓨터와 같은 물리적 장치에 서버프로그램을 설치한 것을 말한다.

초기에는 독립적인 서비스마다 물리적인 서버를 갖춰야 했다.

 

즉, 10개의 서비스를 띄우려면 10개의 물리적인 서버가 존재해야한다는 뜻이다.

10개의 서버가 100% 사용된다면 문제가 없지만, 서버의 사용률이 적다면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낭비가 발생한다.

 

이에 하나의 물리서버에 여러 가상서버를 띄워 사용하는 가상서버(virtual machine)이 나오기 시작했다.

출처 : 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virtualization/what-is-virtualization

하이퍼바이저라는 소프트웨어가 물리 리소스를 필요로하는 가상 환경으로부터 물리리소스를 분리한다.

리소스는 필요에 따라 물리 환경에서 여러 가상 환경으로 파티셔닝된다.

 

가상서버를 통해 어느정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잇지만, 제약 사항이 아직 존재한다.

가상화의 비율을 고정해 놓은 상황이기 때문에 하나의 물리 서버에서 제약해 놓은 자원 그 이상이 필요하더라도 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게된다.

 

이를 극복하기 위해 클라우드가 소개되었다. 유휴 자원을 서버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서비스다.

가상 서버의 경우 제약해 놓은 성능 그 이상을 사용하지 못하지만, 클라우드는 사용량에 따라 자원 밸런싱을 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참고문서


https://technote.kr/8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