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줄바꿈
- 코테
- 쿼리
- 개햄문자치환
- 롤백
- 660mbt
- Object-oriented
- @value
- 자바
- vue.js
- 개행문자
- Docker
- query
- application.properties
- 다중DB
- java
- springboot
- sql
- springframework
- spring
- 트랜잭션
- spring boot
- 직렬화
- mysql
- Spring Framework
- 개발환경
- 업로드 파일 용량
- 레오폴드
- value 어노테이션
- Serializable
- Today
- Total
supremest.35 개발 블로그
[Naver Cloud Platform] 서버 구축 본문
FileZiller 설치
sftp://서버 접속용 공인 IP 를 통해 접속한 뒤에
usr폴더에 app 폴더를 만들어서
JDK 11, Oracle Database 11g Release, Apach Tomcat 9, maven 파일 옮김.
1. 구축에 필요한 도구 설치
- 명령어 yum install -y gcc-c++ httpd-devel java1.8.0-openjdk-devel.x86_64 wget libtool make
2. 압축풀기
- 위에서 옮긴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
- tar zxvf jdk-11.0.10_linux-x64_bin.tar.gz 명령어로 압축풀기
- mkdir /usr/java 명령어로 폴더 만들고 mv (압축 푼 폴더이름)/ /usr/java/jdk11 명령어로 압축 푼 파일 이동시키기
3. 환경변수 등록
- vi /etc/profile 로 편집기 열기
export JAVA_HOME=/usr/java/jdk11
export PATH=$PATH:$JAVA_HOME/bin
export CLASSPATH=.:$JAVA_HOME/lib/tools.jar
- 위 코드를 맨 아래 추가
- source /etc/profile 명령어로 환경변수 적용, java -version으로 설치확인
swap용량 2GB이상으로 늘리기
- mkdir /swap
- dd if=/dev/zero of=/swap/swapfile bs=1024 count=2097152
- cd /swap
- mkswap swapfile
- swapon swapfile
free 명령어로 늘린 용량 확인
재부팅시 적용되게끔 하기
- vi /etc/fstab 파일 아래와 같이 수정하기
Oracle Database 11g 설치하기
- unzip 명령어로 압축풀기 ( 압축 풀리지 않는다면 yum install -y unzip 명령어로 unzip 설치 후 시도한다)
- 압축 풀면 Disk1 디렉토리가 생성되는데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해서
rpm -ivh oracle-xe-11.2.0-1.0.x86_64.rpm 명령어로 설치한다. - 설치가 완료되면
ln -s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/bin/sqlplus /usr/bin/plus 명령어로 sqlplus 명령만으로 DB가 실행될 수 있게 한다. - vi ~/.bash_profile 명령어로 .bash_profile을 수정한다.
5. source ~/.bash_profile 명령어로 환경변수 등록
6. 오라클 DB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oracle 계정이 생성됨
id oracle 명령어로 계정이 생성됐는지 확인하기
7. 오라클 계정 .bash_profile 수정하기
vi ~oracle/.bash_profile
8. env | grep -i oracle 명령어로 환경변수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기
9. /etc/init.d/oracle-xe configure 명령어로 DB포트와 시스템 계정의 비밀번호 설정하기
10. vi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/config/log 로 변경된 값 확인
11. oracle 계정으로 sqlplus의 시스템 계정에 접속
>> su - oracle
>> sqlplus "/as sysdba"
12. DB 동작확인 후 shutdown 명령으로 중지시키기
>> select status from v$instance;
>> shutdown immediate
>> quit
13. createdb.sh를 실행시켜 oracle DB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DB, 테이블, 데이터를 기록하게 한다.
>>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/bin/createdb.sh
14. DB로 접근하기 위한 계정생성과 권한(DB연결, 자원관리) 설정
>> sqlplus "/as sysdba"
>> select status from $instance;
>> create user (아이디) identified by (비밀번호);
>> grant connect, resource to (아이디);
>> quit
15. 위에서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하기
>> sqlplus (아이디)/(비밀번호)
톰캣설치 및 실행
1. tar zxvf apache-tomcat-9.0.43.tar.gz 명령어로 압축풀기
2. conf 폴더의 sever.xml 에서 69번째 라인 port 8080을 80으로 바꾸고 저장
3. bin 폴더의 startup.bat 실행
'Study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erver] 물리서버, 클라우드 서버 (0) | 2022.01.19 |
---|---|
[Server] 서버의 종류 (0) | 2022.01.18 |
[Oracle DB] 문자셋 변경 ( 또는 문자셋 변경 후 오류났을 때) (0) | 2021.04.20 |
[AWS] 아마존 웹 서비스 서버 구축 (0) | 2021.04.14 |
[Naver Cloud Platform]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생성 (0) | 2021.04.06 |